추정하다, 가정하다, 예측하다 영어 표현
assume
그냥 어떤 일이 사실일 것으로 추정하거나 가정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단어이다.
1. (사실일 것으로) 추정하다/가정하다
= to take for granted; suppose
= to take over without justification
2. (보통 중요한) 책임을 맡다
= to undertake the duties of an office
3. 가장하다
= to pretend to have; feign
presume
보통 구체적 근거나 증거가 없이 가정하거나 추정한다는 점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때로는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치를 상정하거나 계산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이것 때문에 헷갈린다. 하지만, 그런 수치 같은 데이터가 딱히 보이지 않으면, 그냥 근거없이 앞서 추측할 때 사용한다)
(반대되는 증거가 나오지 않는 한) 증거없이 사실이라고 추정하다/간주하다/여기다
= to take for granted as being true in the absence of proof to the contrary
suppose
근거가 약한 증거를 기반으로 가정을 하거나 추정을 이끌어 낼때 사용한다.
굉장히 약한 근거가 될만한 일들을 바탕으로 그렇거니 하면서 얘기할 때,
특히 "너 그럴 줄 알았어" 라는 표현을 할 때를 예로 기억하면 된다.
= to assume to be true or real for the sake of argument or expalnation.
= to believe, especailly on uncertain or tentative grounds.
jump into the conclusion
섣불리 결론 짓다
(GRe, GMAT 아규먼트 라이팅에서 아규먼트 지문의 작가가 흔히 하는 짓이다.)
predict
예측하다, 예견하다
= to state, tell about, or make known in advance, especially on the basis of special knowledge
= to foretell something
만약, GRE, GMAT AWA 시험에서 특히 Argument Writing을 하는 경우는 위의 표현들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아규먼트 상에서 가장 무리없이, 실패없이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은 assume이고 아규먼트 작가가 아주 박약한 근거로 뭔가를 제시할 때나, 특히 여러분들이 어떤 주어진 근거로 뭔가를 제시할 때 "이런 경우를 가정해보라" 이런 표현을 할 때 사용하면 좋고, predict도 많이 사용될 것이다. 그런데...presume이란 단어는 특정한 경우에 특히 어떤 수치를 산정할 때 사용하므로...아주 익숙한 표현이 아니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jump into the conclusion은 아규먼트 작가가 부족한 근거로 내린 assumptions를 바탕으로 섣부른 결론을 내리고 있다라고 할 때 사용하면 좋다.
guess
그냥 일상 대화에서 추측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동사이다.
hypothesis
학설적으로 가설을 세울 때 쓰는 표현이다.
surmise
추측하다라는 표현이다.
가정하다와 다른 점은 assume의 경우는 그냥 가정을 하는 것이라면, surmise는 가정해서 판단까지 내려버리는 것이다.
make a judgement까지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조금 생소할 수 있는데...왜냐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뭔가 상황을 설명할 때 judgemental한 단어를 쓰기 때문이다. Judge하지말고 그냥 있는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assume이라면, sermise는 좀 더 주관적인 가정, 그래서 추측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onjecture
개인적인 견해나 판단으로 전적으로 주관적인 가정을 하는 것이다. GRE Text Completion에서 종종 등장 할 수 있는 단어이니 기억하고 가는 것이 좋다.
presuppose 예상하다, 상정하다
postulate 상정하다
conclude 결론내다
premise 전제 조건, 특히 화자가 하고 있는 assumptio의 전제조건이다.